반응형
Kotlin + buildSrc
의존성 관리와 IDE 자동완성 지원을 위해 kotlin 코드를 가지는 buildSrc 모듈을 만들 수 있다.
Gradle 문서를 보면
Gradle이 수행되면 buildSrc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 체크한다. 이 경우 Gradle은 자동적으로 코드를 컴파일하고 테스트한 뒤 당신의 빌드 스크립트의 classpath에 넣는다. 어떤 추가적인 지시도 규정 할 필요가 없다.
1. 루트폴더에 buildSrc 폴더를 만든다.
2. buildSrc 폴더 안에 build.gradle.kts 파일을 생성한다.
3.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
plugins { `kotlin-dsl` } // Required since Gradle 4.10+. repositories { jcenter() } |
4. buildSrc의 하위 폴더로 src > main > java 폴더를 생성한다.
5. java 폴더 안에 Dependencies.kt 파일을 생성한다. (파일명은 자유롭게)
6.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 (예시)
object Versions { val kotlin = "1.2.71" } object Dependencies { val kotlinStandardLibrary = "org.jetbrains.kotlin:kotlin-stdlib-jdk7:${Versions.kotlin}" } |
7. 사용
implementation Dependencies.kotlinStandardLibrary |
필자는 buildSrc 밑에 src/main/java/패키지명/Dependencies.kt 넣고 해보았다.
package 패키지명 object Dependencies { object Koin { private const val version = "2.2.2" const val viewmodel = "org.koin:koin-androidx-viewmodel:${version}" } } |
앱 buildGradle
import 패키지명(Dependencies) 시키고
import 패키지명(Dependencies) 시키고 implementation Dependencies.Koin.viewmodel |
참조 :
loremipsumpark.gitbooks.io/android-tips/content/project-structure/gradle-managing-dependencies.html
daeun1012.github.io/2019-09-04/gradle-dependency-buildsrc
반응형
'안드로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droid 멀티 모듈 (0) | 2021.05.11 |
---|---|
Wildcard(*) import 방지 (0) | 2021.05.03 |
Android Dalvik & ART 차이 (0) | 2021.03.29 |
Android Context란? (0) | 2021.03.29 |
MVC, MVP, MVVM 장단점 (0) | 2021.03.28 |